RSS는 블로그나 웹사이트 포스팅을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지 않고도, 제목과 일부 내용을 가져올수 있는 프로그램 입니다.
관심있는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한눈에 볼수 있는점이 가장 큰 장점인듯 합니다.
오늘 소개할 프로그램은 Royal RSS 입니다.
일단, 웹사이트를 방문해서 다운로드 합니다.
받은후에 압축을 풀면, 실행파일(Royal.exe)이 나옵니다. 더블클릭해서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수동으로 rss를 입력하는 방법과, 끌어넣기(드래그앤 드롭)로 rss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url입력하는 곳에 원하는 rss 주소를 입력합니다.( 저는 mytutorial.tistory.com/rss 로 입력했습니다 )
그리고, Add Url 을 클릭합니다.
제대로 된 주소라면 빨간밑줄처럼 사이트명이 등록이 됩니다.
그리고 오른쪽에는 포스팅이 표시가 됩니다.
오른쪽에 Save버튼이 있는데, 이 버튼은 내 PC에 포스팅 내용을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한번 해볼까요?
시간이 꽤많이 걸리네요.
디폴트로 All feeds.html로 저장이 되고, 이미지등 관련파일들은 All Feed_files라는 폴더에 저장이 됩니다.
All Feeds.html을 브라우저로 열어보겠습니다.
잘 나오네요.
포스팅내용이 많다면, 저장하는데 시간이 꽤 많이 걸리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이제, 끌어넣기로 Rss주소를 등록해 보겠습니다.
cnn싸이트 들어가서, 하단의 "RSS"를 찾아서 클릭합니다.
cnn안에도 여러종류의 Rss가 있는데요.
원하는 주소(Copy URLs to RSS Reader라고 표시된 부분)를 끌어서
All Feeds 영역에 놓습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등록이 됩니다.
다른싸이트도 등록해 보겠습니다.
이 프로그램(Royal RSS Reader)에 밑에 나와있는 RSS주소 입니다.
마찬가지로 끌어놓습니다.
저는 Sysinternals, CodeProject.com 을 끌어넣기 해봤습니다.
글씨가 작은 경우, Option을 지정해줄수 있습니다.
폰트사이즈는 7에서 14까지만 지원합니다.
한번클릭하면 14까지 늘어나고, 다시 7에서 시작하네요( 10, 11, 12, 13, 14, 7, 8, 9 )
이건 좀 맘에 안드는 방식이네요.
그리고, 한국어 지원은 아직 안되지만, 큰 문제는 없습니다.
특정 Rss주소를 지울때는 먼저, 지울RSS주소를 클릭한뒤에, 오른쪽 화면의 "Delete Feed"를 클릭해주면 됩니다.
옵션 설정이 다소 미흡한 면이 있지만, RSS주소를 간편하게 끌어넣는 기능이 있어
일일이 rss주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좋은 장점이 있어서 편하게 이용할수 있을듯 합니다.
'Ut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음원 싸이트 (0) | 2013.12.25 |
---|---|
무료 마인드맵 Freeplane (0) | 2013.12.23 |
무료 음악 다운로드 (0) | 2013.12.20 |
시스템정보를 자세히 알려주는 유틸리티 (0) | 2013.12.19 |
안드로이드용 TeamViewer로 내 컴퓨터 원격접속 (0) | 2013.12.17 |
댓글